반응형

경제&재테크/경제_용어모음 7

알파세대가 온다🚶‍♀️🚶‍♂️

MZ세대라는 말을 들은게 엊그게 같은데, A-Z까지 세대를 언급하는 알파벳을 다 써서 다음 세대를 표현하기 위해 그리스어까지 넘어갔다고 합니다. 오늘은 알파세대 라는 단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알파세대란? 2010년 이후에 태어난 세대를 일컫는 말 저출산 시대에 태어난 아이들로서 외동이 많아 부모세대가 돈을 아끼지 않고 투자하여 골든키즈라고도 불리기도 하고, 조부모님/이모/삼촌/고모 등등 여러 친척들의 호주머니에서 돈을 쓰게 한다고 해서 텐포켓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2. 알파세대와 경제 2.1. 부모세대의 아낌없는 지원 알파세대는 현실적으로 지금 당장 직접적으로 큰 소비를 하지는 않습니다. 대신에 부모님을 포함한 친척들이 그들을 위해 소비하는 돈이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아이를 둘..

체리슈머 (CherrySummer)

체리슈머라는 단어 들어보셨나요? 1. 체리슈머의 어원 체리슈머를 알기 위해서는 체리피커의 어원을 알아야합니다. 체리피커는 케이크 위에 있는 체리만 집어 먹는 것에서 착안하여 어떤 제품 중에서 좋은 것만 골라 소비하려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체리슈머는 체리 + 컨슈머의 조합니다. 체리피커에서 조금 더 발전한 의미인데요, 어떤 서비스나 상품을 최대한 알뜰하게 소비해서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소비자를 의미합니다. 체리피커는 실속만 챙기는 부정적인 용어로 쓰였다면, 체리슈머는 합리적인 소비자로 조금 더 긍정적인 용어로 쓰입니다. 2. 체리슈머의 특징 체리슈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1. 작은 상품에 관심을 가진다. 체리슈머들은 작은 제품들을 소량으로 챙기는 것에 관심을 가집니다. 불필요한 상..

공매도와 풋옵션

영화 빅쇼트라고 하시나요? 빅쇼트의 주인공인 마이클 버리는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미리 예측하여 공매도를 통해 큰 돈을 번 사람입니다. 그런 마이클 버리가 지난 분기에 애플 주식 20만6000주에 대해 풋옵션 계약을 체결하여 최근 주가 하락으로 수익을 얻었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 기사에서 나온 풋옵션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공매도와 다른 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풋옵션 이란? 풋옵션은 특정 자산을 특정 시기에 일정한 가격으로 매도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애플의 현재 주가가 20만원인데 제가 예측하기에 15만원까지 떨어질 것 같습니다. 이럴 때 한 달뒤에 팔 수 있는 풋옵션에 투자가 가능합니다. 저는 이런 풋옵션을 1만원에 샀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주가가 15만원..

펀드 A,C,P,e 그것이 궁금하다

투자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펀드에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특히 요즘은 퇴직연금이나 개인연금 계좌를 통해 직접 투자하려는 분들이 생기면서 펀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연금형은 개별주식은 매입할 수 없고, 펀드나 etf만 매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펀드 상품에 들어가면 같은 펀드인데도 알파벳이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알파벳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각각의 알파벳을 클래스라고 부르는데, 클래스 별로 수수료와 판매보수가 다릅니다. A클래스 & C클래스 A와 C는 펀드를 구입할 때 수수료를 먼저 내느냐 아니냐에 따라 다릅니다. A클래스는 펀드를 매입하는 시점에 1%의 수수료를 냅니다. C클래스는 매입 시점에 수수료를 내지 않습니다. 다만 아래 표를 보면 ..

ㅇㅇ플레이션

최근에 기사를 보다보니 ㅇㅇ플레이션이라고 해서 비슷한 용어가 너무 많더라구요. 기본적으로 ㅇㅇ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에서 파생된 용어입니다. 상황에 따라 ㅇㅇ을 붙여서 ㅇㅇ플레이션이라고 칭합니다. 오늘은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스크루플레이션, E플레이션, 슬로우플레이션 등의 용어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인플레이션 (Inflation) 인플레이션의 사전적 의미는 “물가상승률” 입니다. 화폐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하락하여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최근에 경제 신문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용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지난 2020년 코로나 이후로 세계 경제가 위축되면서 미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들이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돈을 푸는 정책을 펼치면서 돈의 가치가 하락을 했으며, 이제 다시 일..

퇴직연금과 TDF 그리고 OCIO

투자에 대한 열풍이 불면서 퇴직연금에 가입하여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에는 DB형과 DC형이 있는데, DB형은 회사에서 퇴직금을 운용하는 형태이고, DC형은 개인(근로자본인)이 퇴직금을 운용하는 형태입니다. 퇴직연금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증권사들이 이에 적합한 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DC형에서 자산을 리밸런싱할 수 있는 TDF 와 DB형에서 자산 운용을 돕는 OCID 상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DF (Target Date Fund) 먼저 근로자 본인이 관리를 하는 DC형에서 투자가 가능한 TDF 펀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DF 는 Target Date Fund 의 약자입니다. 영어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퇴직하는 날까지 리밸런싱 투자를 하는 펀드입니다. 젊을 때..

ETF (상장지수펀드) 와 ETN (상장지수증권)

ETF (Exchange Traded Fund) 주식들을 모아 주가 지표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만들어둔 인덱스펀드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ETF는 주로 코스피200과 같은 대표 지수를 따라 구성합니다. 대표적인 ETF로는 미국의 나스닥100이나 S&P500지수를 따르는 ETF 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테마를 만들어서 메타버스, 친환경 등 해당 테마에 맞는 주식들을 모은 펀드의 지수를 따르는 ETF가 생기는 추세입니다. ETF는 구성 종목이 10개 이상되어야 상품 출시가 가능합니다. ETF 거래 시에는 LP라는 사람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ETF가 실제 지수와 차이가 너무 많이 나지 않도록 괴리율이라는 것을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ETF 는 순자산가치(NAV)를 거래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