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가입신청을 받았던 청년희망적금 모두 가입하셨나요?
가입 대상자가 기간내에 가입을 하기만 하면 모두 가입을 받아주기로 했었던 상품입니다.
이 상품 외에도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등이 아직 남았습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지난 청년적금에서 소득기준이 안되서 가입을 못하셨던 분들은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 펀드를 노려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 소득공제 장기 펀드는 가입기간인 3~5년 내 연 최대 60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며, 가입한 펀드에 대해 납입액의 40%를 소득공제해주는 상품입니다. 즉, 1년에 600만원을 모두 납입하여 펀드를 구매한다면 최대 년 240만원은 소득공제 형태로 돌려받을 수 있는 셈입니다.
이 상품은 국내 상장 주식에 40% 이상 투자를 하는 펀드에 가입을 해야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펀드 상품이므로 펀드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합니다. 또한 최소 가입기간인 3년 이전에 펀드 해지시 납입액의 6%를 추징금으로 내야하므로 오랫동안 묶어둘 수 있는 여윳돈이 있는 경우에 가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2년1월부터 2023년 12월31일까지 가입가능하며 각 증권사별로 문의를 하면 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중위소득자를 위한 상품입니다. 월 10만원씩 정기적으로 납입을 하면 매년 120만원을 받을 수 있고, 수급자/차상위자는 년 360만원을 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상품은 올해(2022년) 7월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이 가능합니다. 신청날짜에 맞추어서 주민등록지의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경제&재테크 > 재테크_소식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뱅크의 새로운 시도 (0) | 2022.03.16 |
---|---|
인플레이션에 대응하는 방법, 리츠주 (0) | 2022.03.08 |
“자동차탄소포인트제”에 참여해봅시다! (0) | 2022.02.23 |
청년적금 미리보기 서비스 (0) | 2022.02.09 |
파킹통장 (토스 VS 상상인뱅크) (0) | 2022.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