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재테크/재테크_실천일기

8. 어디에 돈을 보관할까?

옥토콩수 2022. 5. 27. 23:30
반응형

시중은행이 예적금 금리를 서서히 올리면서 현재 보관하고 있는 돈을 어디에 보관할지 고민이 생겼습니다. 기존에는 토스 2% 입출금(파킹) 통장에 저장을 해두었습니다. 시중은행이 서서히 금리를 올리면서 2%이상이 되기도 하고 적금의 경우 3%까지 가능하더라구요.
그래서 매일 이자를 주는 토스 파킹통장, 타은행 예금, 타은행 적금의 이자를 비교해보았습니다.

1. 비교대상

토스 파킹통장 VS 케이뱅크1년예금 VS 신한은행알쏠적금

먼저 가장 유명한 토스뱅크의 파킹통장은 1억미만의 돈에 한해 2%의 이자를 매일 지급합니다.

케이뱅크 코드K정기예금은 3,6,12개월 기준으로 가입이 가능하며 각각 1.7%,2%,2.4%의 이자를 지급합니다. 필요한 금액은 부분인출이 되고, 그 금액에 대해서는 중도해지 금리가 적용됩니다. 가입 후 14일 이내에 금리가 오르면 적용해준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신한알쏠적금은 1년짜리 적금입니다. 최대 월 30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며, 기본 1.3%의 금리에 소득이체, 카드이용, 오픈뱅킹이체, 청약보유, 마케팅동의 등에 한해 우대금리 최대 1.7%까지 적용이 가능합니다.

이 외에도 상상인크크크정기예금, 하나월복리적금 등이 이율이 높았으나 금리가 계속 변하고 있어 1년내외로 가입이 가능하고, 매달 납입 한도가 너무 낮지 않은 적금을 찾아서 위의 상품들로 추렸습니다.


2. 이율비교해보기

비교를 편하게 하기위해 예금,파킹통장은 1년기준 3600만원을 초기자본으로 설정하였고, 적금은 매월 300만원씩 넣는다고 가정하였습니다. 정확히 맞지 않을 수 있으니 참고만 하는 용도로 계산을 해보았습니다.


2.1. 토스 이자 계산법

전일자원리금 + ((전일자원리금 * 0.02)/365 )*0.846 으로 계산하였습니다.
정확하게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원금+이자에 2%의 이자를 붙이고 매일 이자를 주기위해 365로 나눈 후에 15.4%를 제외한 금액을 이자로 책정하였습니다. 365일을 계속 늘려가니 총 이자가 61만원 정도가 나왔습니다.


2.2. 코드K예금 이자 계산법

단리의 예금 이자 계산은 단순히 원금 * 0.024 * 0.846 으로 계산하였습니다.
원금에 2.4%의 이자에 15.4%의 이자소득세를 제외한 금액을 계산하니 73만원이 나왔습니다.


2.3. 알쏠적금 이자 계산법

단리 적금인데, 상품설명서를 보니 납입금액 * 0.03 * 납일일수/365 이라고 하여 계산하고, 총금액에 15.4%를 제외한 금액으로 계산하였습니다. 회차별 납입금액이라 매달 납입금액 300만원으로 두고 계산하였습니다. 캡쳐화면은 매달 이자인데 어쩔 수 납입일수가 줄어들다 보니 매달 적금을 넣는다고 했을 때, 매달의 이자가 줄어들게 됩니다.

토스뱅크가 복리이다보니 더 이자가 많을 것으로 예상하였지만, 워낙 기간이 짧은데다가 시중 은행의 금리가 높아졌지에 타은행의 예금을 넣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역시 복리의 힘은 기간이 클 때 더 크게 느껴지나 봅니다.
아무튼 저는 그래서 비상금으로 가지고 있던 여유자금을 예금으로 돌리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여러분들도 심심하면 계산기를 한번 두드려보시고 무엇이 나에게 더 도움이 될지 한번 찾아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