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재테크/경제_뉴스기사

FAANG대신에 MANTA 와 MANG 의 시대가 오나?

옥토콩수 2022. 5. 8. 16:25
반응형

주식 전문가들이 FAANG주 대신에 투자할 종목으로 MANG주 또는 MANTA주를 선정했습니다.

MANG주는 Microsoft, Apple, Nvidia, Google 의 앞글자를 따온 단어입니다.
MANTA주는 Microsoft, Apple, Nvidia, Tesla, Alphabet (Google) 의 앞글자를 따온 단어입니다.

기존 FAANG주가 Facebook, Apple, Amazon, Netflix, Google 의 앞글자를 따서 만들었던데에 비하면 1~2년 사이에 계속 투자할 가치가 있는 종목으로 Apple과 Google만이 남았습니다.
반면 Microsoft와 Nvidia가 공통적으로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MNAG주와 MANTA주를 선정한 근거는 실적을 발표한 기업들 중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영업이익을 낼 수 있는 기업들을 선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FAANG주 선정 때부터 주목을 받던 Apple과 Google은 막대한 현금을 얻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본인들만의 OS를 가지고 이를 활용한 고객 정보 활용으로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Google의 경우 EU연합에서 불공정거래로 과징금을 요청하기도 해서 법안 통과 여부에 따라 엄청난 과징금을 물어야할 수도 있기 때문에 막대하게 벌어들이는 돈만큼 어마어마한 돈이 나갈 수 있음을 유의해야하겠습니다.

Microsoft의 경우 클라우드 서비스인 Azure에서 높은 이익을 내며 예상보다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클라우드는 우리가 직접 가지고 있지 않지만, 일정 비용을 내고 서버 자원을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인데요, 메타버스나 AI등과 같은 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빠르고 큰 용량의 서버가 필요하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좋은 추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경쟁사인 Amazon도 영업이익이 감소하여 실적은 부진했지만, AWS (Amazon Web Service)인 클라우드 사업에서는 성장세를 보였다고 하니 클라우드에 대한 기대감이 높을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Microsoft에서 올 초에 블리자드 인수를 하였는데 그 때문인지 부채가 더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무리한 확장은 없는지도 한번쯤은 확인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Nvidia 역시 신기술에 접목할 고사양의 그래픽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그 이익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무엇보다 최근에 급락세를 보이면서 저점에서 매수할 시기이다.라고 보는 전문가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Nvidia의 수요를 크게 이끌었던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이 조금은 사그러들면서 고사양 그래픽에 대한 수요가 더 지속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한번 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최근 금리인상에 대한 소식이 들리면서 부채에 대한 비율이 낮고 현금 흐름이 좋은 기업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요. 금리가 오르면 빚이 늘어나게 되는데 오른만큼을 감당할 수 있는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MANG주와 MANTA중에서 단순하게 현금 또는 현금성자산이 늘어나면서 부채를 줄여간 기업은 Tesla뿐이네요. 나머지 기업들은 자산은 늘었지만 장기부채도 같이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네이버금융 참고)

개인적으로는 이 중에서 지속적으로 투자를 하고 싶은 기업은 Microsoft입니다.
얼마되지 않았지만 해외주식으로는 Microsoft만 사모으고 있는데요.
일단 오랫동안 버텨온 기업인데다가 본인들 자체 OS를 가지고 있어 이를 활용한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예전에 Apple의 시대가 오면서 이제 MS의 시대는 곧 질 것이다. 라고 예측한 사람들이 많았는데 (저 폼함^^;) 새로운 사업인 클라우드에 대한 확장 그리고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도 가지는 기업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곳은 주식을 추천하기보다는 공부를 해서 알아가는 블로그입니다.
주식 매수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는 것을 명심하시고 어디가 좋은 기업이고, 어디가 나의 가치관에 맞게 운영되고 있는 기업인지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