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재테크/경제_뉴스기사

내년 지하철,버스 통합정기권 도입예정

옥토콩수 2022. 10. 11. 21:16
반응형

지하철이나 기차를 타고 다니시는 분들, 정기권이라는 단어 많이 들어보셨죠? 교통비가 할인되는 좋은 정기권이 있지만 저같은 경우에 버스를 환승하는 경우도 종종 있어서 정기권을 끊지 못했는데요.

이런 시민들을 위해 정부에서 지하철,버스 통합 정기권을 검토중이라고 합니다.👏👏👏👏👏👏👏👏
통합 정기권은 아마도 경기-서울로 출퇴근을 하는 시민들에게 더 희소식이 아닐까 싶습니다.

다만 현재도 환승 등으로 대중교통 비용이 저렴해짐에따라 기사님들이 종종 파업을 하는데 이 제도가 생기면 세금의 부담이 커지는 것은 아닌지, 또다른 문제가 야기되는 것은 아닌지 조금 우려스럽기도 합니다.

출처 : 매일경제 2022.10.11 기사

끝으로 현재 있는 지하철과 기차 정기권은 어떻게 구입하는지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지하철 정기권

보통 지하철은 정기권 카드를 구입해서 운임비용을 충전해서 사용합니다.
30일이내에 60회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서울 지하철은 구간별로 금액이 적용되고, 거리비례용으로 차감되는 것도 있습니다.
잘 활용하면 15% 정도의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최초에 역무실에서 2,500원을 내고 구입을 하면 이후 충전은 지하철 내의 교통카드 충전기에서도 가능합니다.
기계에 카드를 올리고, 교통카드 충전을 선택한 후에 충전을 하면 됩니다. 카드에 따라 충전 금액 등이 정해지는 것 같습니다.

2. 기차 정기권

기차 정기권은 KTX나 일반열차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주중 또는 휴일 이용 중 선택이 가능하고 유효기간내 연속하여 사용하는 조건으로 45~50%할인이 적용됩니다.

기차 정기권은 코레일 홈페이지나 어플에서도 구입이 가능합니다.
코레일톡에서 할인.정기권을 선택한 후에 기간제 정기권 구입을 선택하면 출발, 도착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자료출처]
매일경제 2022.10.11

반응형